- 링킹(linking) 작업
  - A 클래스에 존재하는 함수를 B 클래스에서 호출한 경우, 클래스 파일 각각을 컴파일하면 B가 호출한 A의 함수를 찾을 수 없다. 따라서 A와 B를 연결해주는 작업이 필요한데 이 작업을 링킹이라고 한다.

- 정적 링크
  - 컴파일된 소스파일을 연결해서 실행가능한 파일을 만드는 것

- 동적 링크
  - (컴파일 후) 프로그램 실행 도중 프로그램 외부에 존재하는 코드를 찾아서 연결하는 작업


- 빌드(build)란?
  - 소스코드 파일을 실행가능한 소프트웨어 산출물로 만드는 일련의 과정 컴파일은 빌드에 속하는 한 단계.

- .dll (Dnymic Link Library) : 동적 라이브러리
  - 여러 프로그램이 공통으로 필요로 하는 기능을 프로그램과 분리하여 Runtime 중에 필요할 때만 불러쓸 수 있는 라이브러리.

'Programming, IT 관련 > 개발 플랫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빌드 관리 도구(Build tool)  (0) 2021.05.08
IDE ( IntelliJ vs Eclipse )  (0) 2021.05.08

1) 빌드 관리 도구(build tool)이란?

- 작성한 소스코드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드는 일련의 동작(building)들을 자동화한 프로그램.

 

 

 

2) Gradle과 Maven

- Maven은 pom.xml 파일에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의 종류, 버전 그리고 종속성(=의존성(dependency) 정보 등을 명시하고

Gradle은 build.gradle 파일에 위 정보들을 넣는다.

'Programming, IT 관련 > 개발 플랫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1-05-09 ( IDE 기본 개념 )  (0) 2021.05.10
IDE ( IntelliJ vs Eclipse )  (0) 2021.05.08

- 차이점

 

1) 플러그인

 - IntelliJ 는 설치 시, 많은 플러그인이 같이 설치 돼서 무거운 반면, Eclipse는 대부분 일일이 설치해야 하므로 가볍다.

   (IntelliJ 플러그인들은 JetBrains이 검증한 신뢰성있는 플러그인)

 

2) 툴팁 ( 에러 해결 방법 제시 / Eclipse = Ctrl + 1 / IntelliJ = Alt + Enter )

 - IntelliJ 에서는 에러 해결 방법을 사람들이 선호하는 기능을 위주로 제공하고,

   Eclipse는 선호에 관계없이 전반적인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.

   

3) 프로젝트

 - IntelliJ는 한 화면에서 하나의 프로젝트만 볼 수 있고, 다른 프로젝트를 열려면 프로그램을 따로 실행시켜야한다.

   Eclipse는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다.

 

 

- Eclipse에는 없는 IntelliJ의 부가적 기능들

 

1) IntelliJ는 5분마다 자동저장을 지원. 

2) 작성한 코드보다 클린한 코드(람다 등) 등을 추천해준다.

 

 

 

'Programming, IT 관련 > 개발 플랫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1-05-09 ( IDE 기본 개념 )  (0) 2021.05.10
빌드 관리 도구(Build tool)  (0) 2021.05.08

+ Recent posts